1.2 네트워크의 가장자리(edge)
# 엣지는 컴퓨터다.
# 코어는 연결해주는 부분 ( 라우터, 스위치 )
# 라우터를 통해 구성하려면 ip를 할당받아야한다.
*상세한 네트워크 구조
Network
edge
- 응용프로그램, 호스트
Network
core
- Router
- network of network
Acess networks, Physical media:
- communication links
*The network edge
종단시스템
- end system = hosts
# end system이란 end user란 말에서 파생된 말
# end user 한국어로 번역하면 그냥 사용자이다.
# end user란 일반 사람들을 이야기하는것이다. - 하지만 일반 사람 아닐수도 있다.
- 응용 프로그램 실행
- 예. Web, email
- at “edge of network”
# 요새는 웹에 통합되는 추세이다.
Client/Server
model
- Client : 질의 (request)
- Server : 응답 (response)
- 예. Web browser/server email client/server
# 우리가 쓰는것에는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이 아닌게 없다. 예외로 p2p가 있지만 업무에 사용하지 않는다.
Peer-peer
model
- Client와 server 기능을 동시에 구현
- 예. 소리바다, 당나귀…
# 1T와 2T의 구체적인 차이점?
- 컴퓨터에 직접 저장되있는 방식이 1T(2000년도까지 사용)
- 1T은 어플케이션과 DB가 한 컴퓨터에 깔려있는 시스템(cobol)
- 2010년까지도 전세계의 DB가 90%가 1T, 한국만 예외
# 2T로 넘어간것은 DB끼리의 연동이 되지않아서이다.
- RDBMS를 바뀐 이유
-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업무를 분석해야 만들 수 있다.
- 업무가 바뀌면 어플리케이션 개발자가 또 개발해야함..
# 3T
- 업무환경에 정보시스템이 씌이면서 발달한것이다.
- IS(information system)가 업무환경에 밀접해지면서 정보보안이 뜨게 된것.
- 언제 다 어플리케이션 바꿔줄램….. 위에서 한번에 업데이트해버리면 되지
IS 발전과정
ERP - ISP - ITEA-공공(EA-민간)
ERP DB만...조회할걸..
ISP 하드웨어,
정보보안
ITEA 이런 비용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 미국 정부가 프로세스를 만들어서 진행하면 된다.
*Network edge : 연결지향 서비스
# 어플리케이션이 연결지향형을 쓰거냐 비연결지향형을 쓸거냐의 문제이다.
# 어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선택하는 부분이다.
# 연결지향 TCP 비연결지향 UDP
# 연결에 신경쓰지않아도됨.
목적 : End
system간에 data 전송
- Handshaking : data 전송에 앞서 통신을 준비 할 수 있도록 제어 패킷을 보내 상호 확인하는 과정
- 사람간에 먼저 “안녕” 해서 서로를 확인하는 과정과 비슷
- 통신하는 호스트간에 연결 상태를 설정 한다.
-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에서 사용하는 연결지향 protocol
# 데이터가 전달됬을떄 깨지면 의미가 없다.
# 순서가 맞게 가야한다.
# 어플리케이션개발자는 데이터가 꺠지거나 순서가 맞게 가는지 신경쓰지 않는다
TCP service [RFC 793]
- 바이트의 흐름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해주는 “byte-stream” 개념을 제공
- 데이터 손실에 대비해서 전송확인과 재전송 기능을 제공
- 흐름제어 (flower control)
- 수신자가 송신자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 송신자의 전송 속도를 줄이도록 제어하는 방법
- 수신자가 제어한다.
# 처리할 수 있는 만큼만 받도록 제어해준다.
# 요즘은 의미가 없다. 이미 호스트의 성능이 좋아졌다
- 혼잡제어 (congestion control)
- 네트워크에 혼잡상태가 발생하면 송신자가 전송 속도를 낮추는 제어 방법
#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
# 가용성 공격이 가능한 방법 - 혼잡하게 만들어서
*Network edge : 비연결형 서비스
# 걍 보낸다. 쭉간다. 손실되도 신경안쓴다.
# 외국에서는 인증할때 UDP를 많이 쓴다.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안되는 신뢰성, 순서를 만든다.
목적 : End system간에 data 전송 (목적은 연결지향 서비스와 동일하다)
UDP – User Datagram Protocol [RFC 768]
- 인터넷의 비연결형 protocol
-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지 않는다.
- 흐름제어와 혼잡제어를 하지 않는다.
TCP를
사용하는 응용
- HTTP(Web), FTP, Telnet (remote login), SMTP(email)
UDP를
사용하는 응용
- 인터넷 전화, DNS, 원격회의, 멀티미디어 응용프로그램…
# 잘못된 반응이 왓을떄 TCP와 UDP의 반응이 다르다.
# 둘다 규정이 제대로 없다. RFC에 없는게 엄청 많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