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인터넷 이란
무엇인가? : 구성
전세계
수백만 대의 컴퓨팅 장비를 연결한 네트워크이다
-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
host = end system
# 서버는 엔드 시스템
# 네트워크 엣지와 코어 구분해야함
호스트들은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인터넷에 참여한다.
# 호스트들은 어플리케이션이 돌아감. 이것으로 네트워크 구분할 수 있음
각
호스트는 통신링크를 통해 연결된다.
- 동축,광,무선,위성 등의 물리적인 매체를 이용
- 다양한 전송률을 가진다.
(bandwidth)
패킷스위치 (라우터,링크계층스위치) 이용
# 패킷스위치를 쓰기에 지연과 혼잡이 나타난다.
# wsp, isp 가 잇엇는데 wsp가 규모가 작아지면서 isp로 합병됨
# 지금 wsp는 웹호스팅하는(ex : cafe24)하는 곳만 남음. 도메인 등록하는 곳
# 국가차원에서 전국에 광케이블 깔아서 구축함(김대중-손정희)
# 광컨넥션 장비 국산화
# 한전이 땅파서 두루넷사업시작
# 공공 ISP와 민간 ISP가 있다. 돈내고 인터넷쓴다 그럼 ISP
# ip를 받는애들을 host라 그럼
# 1T 아키텍쳐 = (ex: putty - 터미널 에뮬레이터)
프로토콜 : 송수신
데이터를 제어한다.
- 예 : TCP, IP,HTTP,FTP,PPP
인터넷 : “network of network”
- 느슨한 계층적 구조
- Public Internet ver private Intranet
인터넷
표준
- RFC : Request for comments
- IETF :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 하위프로토콜이 쓰게되면 상위프로토콜이 제약됨 ex) TCP/HTTP
# 문서가 배포가 되지않으면 표준 프로토콜이 아님
# RFC에 올라가있는 표준 프로토콜 사용하면됨
*인터넷 이란
무엇인가? : 서비스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통신 기반
구조
- Web, email, game, ecommerce,file sharing
# 인터넷은 효과적이거나 구조화되어 있지는 않다.
# 새로운 체제로 나온것이 더 세분화되고 효율적인 OSI 7 계층
# 인터넷위에 쓰는 어플리케이션이(ex:crome,explorer)
너무 많아 바꿀수가없다.
두가지
통신 서비스 유형
- 비연결형 서비스 - UDP
- 연결지향형 서비스 - TCP
# 서비스는 누가 누구에게 제공하는것을 말한다.
# 트랜스포트레이어가 어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한다.
# ip는 이더넷에게 제공한다.
# 아래에서 위로 제공하는것이다.
What’s a
protocol ?
사람간의
의사교환
(human
protocol)
- “질문있냐?”
- “질문 있슴당”
- ….
사람간의 Protocol
상호간에 보내는 특정한 메시지가 있고 수신된 응답메시지 혹은 다른 상황에 대응해서 취하는 특정한 행동이 있다.
Network
procotol
- 사람간의 의사전달과 매우 비슷하다.(좀더 단순하다.)
- 모든 데이터 송수신은 인터넷에 지정된 전송 규격에 따라야 한다.
Protocol의 정의
프로토콜은 둘 이상의 통신 개체간에 교환되는 메시지 포맷과 순서뿐 아니라
메시지의 송수신과 다른이벤트에서 취하는 행동들을 정의한다.
사람이나
컴퓨터간의 통신 protocol
# 사람간에 의사소통이 더 어렵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