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산자/소비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
적절한 세마포어를 넣으시오.(각 4점, 총 20점)
생산자 프로세스
|
소비자 프로세스
|
세마포어
|
repeat
nextp에
데이터 항목을 생산
P( ㉠ );
P( B );
nextp를
버퍼에 넣음
V( ㉡ );
V( ㉢ );
until false;
|
repeat
P( ㉣ );
P( ㉡ );
버퍼에서 데이터
항목을 꺼내
nextc에
넣음
V( ㉡ );
V( ㉤ );
nextc를
소비
until false;
|
A (초깃값: 0)
B (초깃값: 1)
C (초깃값: 버퍼크기(n))
|
ㄱ : c ㄴ : b ㄷ: a ㄹ : a ㅁ : c
2. 다음 변형된 자원할당 그래프를 이용하여 ㉠~㉣에 맞는 답을 쓰시오.(각
5점, 총 20점)
실선 화살표인 ( p1,r1 )은 ㉠ 을 나타내고, 실선 화살표인 ( r1,p2 )는 ㉡ 을 나타내며, 점선 화살표인 ( p1, r2 )는 선언간선을 나타낸다.
프로세스의 요구에 의해 선언간선이 요구간선으로 변하고 이를 운영체제가 허용하여 할당간선으로 변환하더라도 안전상태가 유지되는
선언간선은 ( ㉢ , ㉣ )이다.
ㄱ : 요구간선 ㄴ : 할당간선 ㄷ : p3 ㄹ : r2
3.
클록 페이지 교체기법으로 관리 중인 페이지 프레임의 현재 상태가 아래 왼쪽 그림과 같다. 지금부터 A→D의 순서로 페이지를 참조한다면, 각
참조가 끝난 후 페이지 프레임의 상태에 맞도록 ㉠~㉧에 프레임 번호를 쓰시오.(각 2점, 총 16점)
ㄱ : F ㄴ : 0 ㄷ : A ㄹ : 0 ㅁ : H ㅂ : 1 ㅅ : D ㅇ : 1
4.
벨-라파듈라 모델과 비바 모델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10줄 이내로 설명하시오. (14점)
답안)
두 모델의 공통은 같은 강제적 접근
제어(MAC)
모델로서
각각 객체에 보안등급을 매기고 사용자에게 보안 등급을 매기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군사적 환경과 같이 정보의 기밀성이 중요시되는 환경에서
사용 됩니다. BLP 모델과 VIVA 모델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기밀성과 무결성중 무엇을 중요시하느냐의 따라 구분됩니다. BLP 모델은 정보가 상위 보안
수준에서 하위 보안 수준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데 중점을 두어 기밀성이 침해 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하지만 낮은 등급을 갖는
주체가 높은 등급을 갖는 객체에 대한 수정을 허용할 우려가 있으므로 무결성을 고려하지 않은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에 비해 비바 모델은 낮은
등급을 가진 객체는 높은 등급으로 쓰기 접근을 하지 못함으로써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하지만 낮은 등급을 가진 객체가 높은 등급을 가진 객체의 판독이
가능함으로 기밀성은 떨어진다는 차이점을 보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