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10
지금의 멤버파일의 크기는 고정되어있다.
bin 파일이 100MB이면 100이다.
공간의 크기를 미리 잡고간다.
커런트 - 현재 쓰는 그룹
인액티브 - 현재 쓰지않는 그룹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
액티브 - 이미 앞전에 쓴애들
위와 아래는 미러셋이기때문에 각 100MB라도 100MB씩밖에 못쓴다.
점선은 다른 디스크에 두라는 뜻이다.(복구)
가득차서 못쓰게되면 그룹 2로 간다. 그럼 2가 커런트가 된다.
그럼 1은 액티브 상태가 된다.
커런트랑 액티브를 건들면 시스템이 망가진다.
1번으로 돌아오면 기존에 있는 정보가 사라진다.
아카이브파일로 넘길수잇으면 넘겨야한다.
로그 시퀀스 번호 : 1,2,3의 숫자는 순서가 의미가 없고 구별만 하는 번호이다.
다시 1번으로 돌아가게되면 4번으로 된다. 로그 시퀀스 번호는 한번생기면 없어지지않는다. 몇천번 몇만번까지..
*리두 로그 명령어 4가지
그룹 추가, 삭제
멤버 추가, 삭제
*커런트와 인액티브만 있고만 싶다면
체크포인트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액티브인 애들이 인액티브로바꾼다.
로그 스위치 - 리커버리할떄 강제로 다음 그룹으로 넘기는것.
- 그럼 체크포인트 이벤트가 발생한다.
*로그파일 삽입할때는 파일위치 괄호 넣어야한다. - 사이즈 1MB
ALTER
DATABASE ADD LOGFILE GROUP 3
('$HOME/ORADATA/u01/log3a.rdo',
'$HOME/ORADATA/u02/log3b.rdo')
SIZE 1M;
언유즈 상태로 추가된다.
보통 작게 쓰면 500MB에서 1G정도 쓴다.
*온라인 리두 로그 파일 멤버 추가
ALTER
DATABASE ADD LOGFILE MEMBER
'$HOME/ORADATA/u04/log1c.rdo'
TO GROUP 1,
'$HOME/ORADATA/u04/log2c.rdo'
TO GROUP 2,
'$HOME/ORADATA/u04/log3c.rdo'
TO GROUP 3;
사이즈가 설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한번에 추가한다. 괄호가 없다.
*온라인 리두 로그 파일 그룹 삭제
만들때 생성한애는 삭제해도 파일이 사라지지않는다. 하지만 다시 쓸수 없다.
손으로 직접 지워줘야함.
- 파일을 쓰고 있는 도중에 다른 파일을 잘못 지울 수 있다.(잘 확인할 것)
로그 스위치 시스템이 있기에 그룹이 3개이상 있을때 지울 수 있다.
*온라인 리두 로그 파일 멤버 삭제
ALTER
DATABASE DROP LOGFILE MEMBER
'$HOME/ORADATA/u04/log3c.rdo';
마찬가지로 지울 수 있다. 안헷깔리게 조심할것
최소 멤버파일 1개는 남겨야한다.
- 반드시 인액티브 상태에서만 지워야한다.
*온라인 리두 로그 파일 구성
문제가 있다.
- 3번의 멤버가 한개밖에 없다. 멤버파일의 갯수는 통일된다.
- 미러링을 같은 하드디스크로 했다. ( 안전성과 성능만 떨어짐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