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T 3T 아키텍쳐 변환
*3T로 바꾸는 이유
티어는 생각하는애가 몇명이나 잇냐이다.
인터넷은 여러아이피에서 접속하여 사용
TCP/IP 개발한 환경은 이더넷환경에서 만들었음.
제록스에서 OS 장비를 쓰기위해 만든게 이더
패킷망 네트워크에서 각각 구별해야했다.
노드 : 네트워크에 붙어있는 장비, mac address를 가지고 있는 애들
인터넷에 연결할거면 IP 주소 줘야함, 그렇게되면 host가 됨
host : 서비스 제공 시스템, server, client 다 포함
1T 아키텍쳐 : 이더넷환경
2T 아키텍쳐 : IP 환경
# 타임박싱 이론 : 시간을 정해두고 비용을 투자하면 전체비용보다 줄어든다.
# 하와이 항공모함 세달 수리할것을 모든 인력 투입해서 3일만에 띄우고 2일을 가면서 수리함
그래서 기존에 1T에서 2T로 바꾸면서 시간이 줄어들고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듬
3T 아키텍쳐 :
3T 구조 : DB - APP(web)
- Host(brower)
전체 운영비용이 2T보다 3T가 정말 적게 든다.
업무환경이 바뀌면 APP만 업데이트하면 된다.
ex) 크롬북(os없음)을 인터넷만 사용하여 접속
* 그래서 우리가 할것은
DB(oracle)
- app(web) - host
app 를 만든다.
samba, apache 를 깔아서 연동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