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5. 29.

[Network] 1.7 프로토콜계층과 서비스 모델


*Protocol “Layers”

Network are complex

많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 져있다.
  • 호스트
  • 라우터
  • 여러가지 매체
  • 응용 프로그램
  • 프로토콜
  • H/W, S/W

Question

네트워크 구조를 어떻게 조직하는가?
또는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논의는가능 한가?

# 프로토콜이 레이어링으로 구분한이유는 ? 한번에 만들면 복잡하고 저효율
# 공장의 분업화와 비슷하게 레이어를 짤라주면서 분업화 시킨것

*공항 탑승 과정


*공항 탐승 과정의 계층화


Layers(계층) : layer마다 서비스를 구현한다.
  • 내부 계층을 통해서 전체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 각 계층은 아래 계층과 연계하여 어떤 기능(서비스) 구현한다.

*Layering의 장점

복잡한 시스템에 유용하다.

크고 복잡한 시스템을 잘 정의된 특정부분으로 논의 할 수 있게 해준다.
시스템의 유지 및 개선이 modularization으로 쉬워진다.
  • layer를 개선하는 작업은 다른 layer에 대해서 투명하다.
  • 예를 들어 탑승 기능을 변화시켜도 탑승과정의 다른 계층에 대해서는 영향을 주지않는다.
Layering considered harmful?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

Application :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
  • FTP, SMTP, HTTP
Transport : 호스트-호스트간에 데이터 전송을 담당
  • TCP, UDP
Network : 출발지에서 목적지 까지 datagram routing을 담당
  • IP, routing protocol
Link : 네트워크 노드들 간에 data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
  • PPP, Ethernet
Physical : bit “on the wire”

# link layer에서 transport layer 바로 넘어가면 grouping 안되고 mac address로는 컴퓨터를 정확하게 식별하기가 어렵다. ( ex 랜카드 두개 박아버리면 답이안나옴)


*Encapsulation


TCP header에서 가장 중요한거
  • 받는사람의 port number, 보내는 사람의 port number (식별 정보)

상대방의 IP 아는데 mac 주소를 모를기에 해당 네트워크에 라우터에게 ARP 보낸다.( 도착지 IP 주소와 도착지 네트워크 라우터 mac address )

스위치의 역할 - 필터링 포워딩 플러딩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