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접속과
물리적 매체
# 해외 64k ..? 우리 100mbps인데...
Q
: 종단 시스템이 종단
라우터에 어떻게 접속하는가?
- 가정 접속 (residential access)
- 기관 접속 (institutionalaccess) : 학교나 기업등
- 이동 접속 (mobile access)
- 무선 접속 (wireless access)
# 해외는 건물에 라우터가 들어간다면 한국은 라우터를 ISP가 가지고 있음
# 전화기를 선을 이어서 이동하면서 전화하면 .. 이동 접속임
중요한 관점
- 접속에서의 대역폭 (bits persecond)
- 공유, 전용 여부
# IP가 없어서 ISP가 IP를 적게할당하기 위해 비용을 많이 지불함.
# PSTM을 일본에서 쓴다. 한국에서 안씀..전세계적으로 한국을 따라온다.
*가정 접속 : point to point
Dialup modem
- 56Kbps를 제공하는 직접 접속 (ISP 라우터의 모뎀과 연결)
- 모뎀을 사용하는 동안 음성전화는 불가능 (느리며 항시 접속을 구현 하기 힘들다)
# 콜백 시스템 - 전화번호랑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 끊기고나서 로그를 남겨서 접속함..
RAS
remote access system
ADSL
: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 1M 이상의 upload 속도
- 8M 이상의 download 속도
- FDM :
50 – 1MHz : downstream 채널
4 – 50KHz : upstream 채널
0 – 4KHz : 일반적인
전화 채널
# P2P 때 본거같다.. 유럽에서 만든것이다.
# 전화선을 이용하는거로 k에서 m으로 올렸기때문에 1M까지밖에 못쓴다.
- 전화선이 못버팀
# LSIP, PPP ..
*가정 접속 : 케이블 모뎀
HFC
: 동축케이블을 이용 (Hybrid fiber coax)
- 30M 이상의 downstream, 2M 이상의 upstream을 제공 가능
# 외국에서 주로 쓰는 라인
# 우리나라는 다운로드, 업로드 속도가 같았고 한전에서 썼다.
네트워크는
광케이블이나 동축케이블을 이용 가정에서 ISP까지 연결된다.
- 헤드엔드나 광노드를 공유하는 방법으로 접속한다. (router를 공유한다.)
공유방송매체를 이용한다. (TV cable을 이용 )
*HFC의 구조
*기관 접속 : local area network
기업이나 대학에서는 LAN을 이용 종단시스템이 edge 라우터에 연결한다.
Ethernet
- 이더넷은 여러 종단 시스템에서 가장자리 라우터까지 연결을 담당한다. (공유, 전용)
- 10M, 100M, Gigabit Ethernet
Lan은
5장에서 자세히 다룬다.
*무선 접속
종단 시스템에서 라우터까지 공유 무선 접속
네트워크
- 무선 기지국 : 엑세스포인트 (access point)
무선랜
- 802.11b (WiFi) : 11Mbps (802.11g : 54Mbps)
Wider-area wireless access (광대역 무선 접속)
- 전화 회사에서 제공
- 3G – 384Kbps
- WAP/GPRS (유럽)
*Home network
Home network 의 구성
- ADSL 또는 cable modem
- Router / firewall / NAT
- Ethernet
- Wireless access point
# broadcast 시그널을 장기간 수집하게되면 유용한자료가 된다.
# 그래서 ISP는 이 시그널의 제약을 준다.(ex 옆회사에 내 시그널이 안가도록)
# 무선공유기와 유선공유기를 access point로만 사용하면 분리된 무선과 유선을 통합시키면 무선프린터와 유선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
# 이말은 즉슨 연결 도구로만 사용하고 네트워크 대역대를 맞춰주면된다.
*물리 매체
Bit : 전송시에 일련의 송수신기 쌍을 거쳐서 전달된다.
물리적 매체 : 송수신기 사이에 연결 경로
- 유도 매체(guided meida)
- 비유도 매체(unguided media)
유도 매체
- 광케이블, 동축케이블, UTP와 같이 견고한 매체를 따라서 파형을 유도하는것
비유도 매체
- 무선 LAN, 디지털 위성채널등과 같이 대기와 야외공간으로 파형을 전파하는것
꼬임쌍 동선(Twisted pair : TP)
- 절연된 두가닦의 꼬인 동선-
- Category 3 : 일반적으로 전화망에서 이용, 10Mbps Ethernet
- Category 5 : 100Mbps Ethernet
*물리 매체 : 동축케이블, 광케이블
동축케이블 (Coaxial cable)
동심원형태의
두 개의 구리 선으로 되어있다.
- 양방향
- Baseband
- 단일 채널
- 10base2 ethernet
- Broadband
- 여러 채널
- HFC
광케이블 (Fiber optic cable)
비트를
나타내는 빛의 파동을 전달하는 가늘고 유연한 유리섬유
- 매우 빠른 전송 속도
- 두 지점간 매우 빠른 전송이 가능(5Gbps)
- 전자기성 간섭의 영향이 받지 않고 100Km까지 신호 감쇄 현상이 적으며 도청이 어렵다. 에러율이 적다.
물리 매체 : 위성
라디오 채널
신호를
전자기 스펙트럼을 이용 전달
wire를 이용하지 않는다.
양방향
전파 환경과 신호가 전달 거리에 영향을 받는다.
- Reflection : 방해물질을 돌아가거나 통과함에 따라 신호가 약해짐
- Obstruction by objects : 간섭물체에 의해 신호 반해
- Interference : 다른 전자기 신호로 인한 전파 간섭
Radio link types
지상파
- 예: 45Mbps 이상의 채널
LAN (WiFi…)
- 2Mbps, 11Mbps, 54Mbps…
Wide-area
(cellular…)
- 예: 3G (수백 Kbps)….
위성
- 50Mbps 이상의 채널 (또는 이보다 적은 멀티 채널)
- 250ms의 신호전파 지연
- 정지위성이나 저궤도 위성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