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리오
smb.conf[global]
1. host allow 와 hosts deny 를 통해 samba 가능 ip를 조절해본다
hosts allow =
192.168.10.151, 192.168.10.220
hosts deny =
192.168.10.220
2. 언어셋 지정을 해서 파일안에 다른 인코딩으로 되어 있는 파일을 확인한다.
unix charset
= utf-8
dos charset
= cp949
cp949.txt파일은 cp949로 인코딩
utf-8.txt파일은 utf-8로 인코딩
3. link 디렉토리 접근을 허용과 불허로 바꿔서 실험해본다.
follow
symlinks = yes
wide links =
yes
unix
extensions = no
세줄 중
follow symlinks = no 로 해본다.
smb.conf[share]
1. 공유 디렉토리를 만들어 누구나에게나 접근 허용 가능한지 구분한다.
path
= /home/pathpublicyes
path
= /home/pathpublicno
[pathpublicyes]
comment = pathpublicyes
path = /home/pathpublicyes
public = yes
writable = yes
[pathpublicno]
comment = pathpublicno
valid users = kst11
path = /home/pathpublicno
public = no
browseable = yes
writable = yes
2. 공유 디렉토리를 만들어 쓰기권한을 비교한다.
writable
= yes
writable = no
write
list = kst11
[writableyes]
comment = writableyes
valid users = kst11, first, second
path = /home/writableyes
public = yes
browseable = yes
writable = yes
[writableno]
comment = writableno
valid users = kst11, first, second
path = /home/writableno
public = yes
browseable = yes
writable = no
write list= +te kst11
*실습 시작
위에 모든 설정을 넣어놓는다.
vi
/etc/samba/smb.conf
각 폴더를 만들어준다.
삼바를 재시작한다
systemctl
restart smb.service
1. allow, deny 확인
deny에 있으면 안된다.
allow에 있고 deny 에 있으면 접속이 된다.
allow가 우선되고 deny가 무시된다.
2. 언어셋 확인
윈도우에서 파일을 만들어준다.
utf-8
메모장으로 인코딩 편집이 없어 다른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서 넣는다.
cp949
둘다 utf-8로 변경
cp949로 바꿔도 둘이 잘만 읽는다..
리눅스에서도 윈도우에서도 ..
3. link 디렉토리 불허 확인
다시 링크디렉토리 허용으로 바꿔주고 확인해본다.
[shared]
chmod 777 pathpublicyes pathpublicyes writableyes writableno
# 시작전에 권한을 준다.
1. 공유 디렉토리를 만들어 누구나에게나 접근 허용 가능한지 구분한다.
path
= /home/pathpublicyes
path
= /home/pathpublicno
[pathpublicyes]
comment = pathpublicyes
path = /home/pathpublicyes
public = yes
writable = yes
[pathpublicno]
comment = pathpublicno
valid users = kst11
path = /home/pathpublicno
public = no
browseable = yes
writable = yes
first 계정으로 접속해본다.
kst11로 접속해본다.
허용계정만 가능하고 허용하지 않은 계정은 public이 no일떄는 들어갈수 없다.
2. 공유 디렉토리를 만들어 쓰기권한을 비교한다.
writable
= yes
writable = no
write
list = kst11
[writableyes]
comment = writableyes
valid users = kst11, first, second
path = /home/writableyes
public = yes
browseable = yes
writable = yes
[writableno]
comment = writableno
valid users = kst11, first, second
path = /home/writableno
public = yes
browseable = yes
writable = no
write list= +te kst11
kst11로 들어가서 폴더를 만들어본다.
first로 들어가서 폴더를 만들어본다.
frist 는 권한이 없으므로 폴더를 생성하지 못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