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의 파일권한에 관한 설명과 chmod 명렁어의 간단한 실습을 진행하겠다.
ls -al 을 친다
| 
   
파일종류 
 | 
  
   
퍼미션 
 | 
  
   
하드링크 수 
 | 
  
   
소유자         
 | 
  
   
그룹 소유자 
 | 
  
   
파일크기 
 | 
  
   
마지막 변경 일자 
 | 
  
   
파일이름 
 | 
 
| 
   | 
  
   
Rw-rw--r-- 
 | 
  
   
1 
 | 
  
   
Root 
 | 
  
   
Root 
 | 
  
   
2006 
 | 
  
   
4월 6 17:26 
 | 
  
   
Initial-setup-ks.cfg 
 | 
 
파일의 종류
| 
   
- 
 | 
  
   
D 
 | 
  
   
L 
 | 
  
   
B 
 | 
  
   
C 
 | 
 
| 
   
일반 파일 
 | 
  
   
디렉토리 
 | 
  
   
링크 파일 
 | 
  
   
블록 디바이스 파일 
 | 
  
   
문자 디바이스 파일 
 | 
 
퍼미션
| 
   
User 
 | 
  
   
Group 
 | 
  
   
Other 
 | 
 
| 
   
소유자         
 | 
  
   
소유자그룹 
 | 
  
   
그외 
 | 
 
| 
   
R 
 | 
  
   
읽기 
 | 
  
   
파일목록 보기 
 | 
 
| 
   
W 
 | 
  
   
쓰기(수정) 
 | 
  
   
파일 생성(삭제) 
 | 
 
| 
   
X 
 | 
  
   
실행 
 | 
  
   
들어가기 
 | 
 
| 
   
S 
 | 
  
   
Setuid, Setgid 
 | 
  
   
소유자,그룹 권한으로 실행 
 | 
 
| 
   
T 
 | 
  
   
Sticky bit 
 | 
  
   
공유모드, 삭제불가 
 | 
 
chmod 를 이용해서 변경한다
chmod
777 1
# 1파일의 소유자 소유자그룹 그외 모두에게 모든 권한을 준다
chmod
722 2
# 2파일의 소유자에겐 모든 권한을 주고 소유자그룹과 그외다른사용자에겐 write 기능만 준다
Chmod
155 3
# 3파일의  소유자에게 x인 실행권한만 주고 소유자그룹과 그외 다른사용자에겐 읽기권한과 실행권만 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